1. 개발환경
개발환경은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 PC : Mac(m1)
- Java Version : 11
- Tool : IntelliJ Ultimate
- Build : Gradle
- DB : h2(ver 1.4.200)
2. Spring Boot Starter 사이트를 이용해 프로젝트 만들기
각 필드별로 의미하는것은 아래와 같다.
- Project : Maven 혹은 Gradle중 하나를 선택한다
- Maven, Gradle은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빌드,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는 툴이다.
- Language : 언어 선택
- Spring Boot : 스프링 버전을 선택한다
- Snapshot : 아직 만들고 있다는 의미
- m1 : 정식 릴리즈가 아님
- Project Metadata
- Group : 기업 도메인 명같은걸 적어준다
- Artifact : 일종의 프로젝트 명을 의미
- 이 외는 그냥 디폴트로
- Dependencies :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선택해준다.
모두 설정을 하였다면 Generate를 통해 프로젝트 폴더를 다운로드를 한다. 그 후 IntelliJ의 Open / Import를 눌러 다운로드한 폴더를 열어준다. 그러면 오른쪽 사진과 같이 프로젝트가 생성된것을 볼 수 있다.
3. build.gradle 살펴보기
build.gradle은 버전설정, 라이브러리(dependencies)를 import 하는 설정파일이다. 몇가지 필드를 살펴보자.
dependencies 필드에는 아까 설정했던 라이브러리들이 명시되어있는것을 볼 수 있다. testImplementation는 테스트 라이브러리이다.\
repositories는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하는곳을 기재한다. 이는 mavenCentral이라는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하라는 의미이며, 필요에 따라 URL을 기재해도 된다.
https://mvnrepository.com/repos/central
plugins는 스프링 버전, 스프링 부트를 위해 사용하는 언어가 표기되어있다. sourceCompatibility는 자바 버전을 의미한다.
4. 스프링 실행해보기
스프링을 실행해 보자.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이 HelloSpringApplication이라는 코드가 디폴트로 작성되어있다.
실행해보면 위와 같이 뜨는것을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Tomcat이 내장되어있어 그 위에서 돌아가고, Tomcat 포트 8080에서 실행된다고 볼 수 있다. 이제 로컬호스트 8080 포트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접속되는것을 볼 수 있다.(정상임)
Tomcat이 내장되어 실행되는지 보고싶다면 External Packages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embed-tomcat이 있는것을 볼 수 있다.
'Back-End > Java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일반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계층 구조 (0) | 2022.03.13 |
---|---|
[Spring Boot] API 방식 (0) | 2022.03.13 |
[Spring Boot] MVC & Template Engine (0) | 2022.03.12 |
[Spring Boot] Spring Static Content (0) | 2022.03.12 |
[Spring Boot] Welcome Page 만들어보기 (0) | 2022.03.12 |